다음은 「20세기 패션 아이콘」 을 중심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012
-인문학, 과학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의 생활과 사고에 큰 변화를 일으킨 시기, 새로운 예술사조 등장(아르누보) 풍요의 시대,
입체주의 야수주의 영향도 있음
-서구 강대국들은 원료공급과 시장 개척을 위하여 식민지 확보
-안으로는 1900년 이전 벨 에포크 시대로 평화롭고 아우어 글라스 실루엣 유행
-아르누보의 영향을 받아 곡선적임.
▶1900년대는 S커브 실루엣
-가슴은 곡선을 그리며 돌출했고 허리는 조이고 엉덩이는 돌출되고 배는 납작함.
-S커브 실루엣의 특징: 스커트는 엉덩이를 감싸며 부챗살 모양으로 드리워지고
트레인이 있었고 소매는 좁고 길었으며 칼라는 극도로 높았다.
헤어는 잘 손질되었고 장식적이며 주름잡은 시폰, 실크, 실크 알파카, 벨벳, 레이스
등으로 만든 모자 아래 핀으로 고정
-이 시대는 장식이 특징
굵은 자수, 아플리케, 레이스수, 유리구슬, 시퀸, 프릴, 플리츠 등
-예술과 패션에서 영감의 근원은 관능적인 이미지와 여성미에 대한 새로운 이상
16 이성주의 복식
영국의 의상개혁은 미적 분야와 의학적 분야에서 일어남.
미적 분야에서 라파엘 전파 예술가들은 중세풍 복식 제안 : 느슨한 드레스로 몸을 자유스럽게 함.
20 오리엔탈리즘은 1900년경부터 서양디자이너들이 아시아의 다양한 문화로부터 온
이국적인 스타일로 정의
-패션디자이너들은 환상적인 의상 형태와 현란한 장식 요소에 야수파의 색채 도입
-모자디자이너들도 동양영향 반영-깃털로 터번 장식, 보석 치장한 터번들을 신고전
풍이나 이국적인 의상과 함께 착용
24 푸아레 1903년 살롱 오픈
-푸아레의 부티크는 호화롭고 고급스런 분위기, 이국적이고 표현적인 옷을 입은 과
장된 모델들과 다채로운 디자인
-1906년 그 아내가 코르셋이 필요 없는 드레스 1910년 그리스풍의 슈미즈 드레스
-푸아레의 전등 갓 형태의 튜닉과 터키풍의 하렘 팬츠 등은 1910/11 시즌 최고
28 -잔느 파캥
1891년 남편 이시도르와 파리의 라 페 거리에 파캥하우스 오픈
-젊음과 현대성, 고도의 세련미를 가리켜 파캐네스크 라는 용어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에 제1회 쿠틔르단체전의 대표.
-편안함, 기능성, 다양성의 문제에 관심
32 1915-21
제1차 세계대전은 여성의 사회진출과 여성복의 근대화 재촉
서구 사회는 본격적인 근대화에 접어 듦
32 크리크크리놀린Kriegkrinoline: 전쟁시기의 크리놀린(독어)
1915-17년 유럽전역에서 유행한 드레스와 슈트의 실루엣
후프 대신 여러 겹의 패티코트로 지탱하는 넓은 스커트 착용->전쟁 중임에도
인기 많은 원단사용으로 가격 비싸나 원단 질이 조악하고 수수한 장식
36 샤넬, 저지드레스(리틀 블랙 드레스), 트위드 슈트,
-심플하면서도 독특한 디자인으로 20세기 초 혁신적이고 반항적
-현대 여성 의복은 샤넬의 아이디어와 실험정신, 과감한 ‘관습타파’의 결과물
-샤넬은 달리에게 영국의 남성성을 여성화시켰다고 함
-1954년 70세의 복귀하여 ‘트위트 슈트’를 발표하고 전 세계적으로 히트
40
-1920년대 유럽 전역의 예술가들은 현대 남성복과 여성복의 새로운 규정 요구
-이들을 아방가르드 예술가로 불렀고 이들은 예술과 삶의 간극을 메우려 노력함.
-순수미술과 응용미술간의 구분 없고, 일상을 창조적으로 충만하게 하는 것이
예술을 이해하는 것.
-그들은 과거와의 단절을 원했고 모든 예술 장르를 혁명적으로 개혁하고자 함.
-기계와 기술에 의해 움직이는 현대사회를 찬양.
-고전과 전통의 부정, 기계문명이 가져온 도시의 약동감과 속도감
-예술에서 정치까지 폭넓은 문화적 혁명
-기존의 가치와 문화를 혁신하고자 한 아방가르드 운동
44
-에르테: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의상디자이너, 1892-1990상트 페테르부르그의 귀족
유연한 인체와 몸을 감싸는 직물과 모피, 구슬과 진주, 높이 장식한 머리 등이
그의 대표적 이미지
에르테가 다른경쟁자와 차별화 될 수 있는 점은 직접 디자인창작하여 그리기 때문
1922-29
48 사치스럽고 화려한 드레스, 모피 트리밍 장식, 몸을 휘감는 코트, 강한 색상대비
에다 정교한 라인을 따라 재단하고 드레이프한 요염한 고어드 스타일
물질적 번영을 배경으로 한 소비와 쾌락주의 시대
사회의 개방으로 인한 효율성이 강조된 모더니즘 패션 반영. Young Mode
-1926년 독일 여성잡지: 남성적 원리와 여성적 원리의 대립이 패션에서 강하게 나
타남. 여성들은 머리를 짧게 자르고 웨이브를 하고 장식품을 버리고 남자처럼 하다.
Flapper style: low Waist의 길고 슬림. 크로쉐 햇.
52 -바지는 승마에 허용되었으나 코트 드레스와 긴 스커트를 함께 착용
-스키는 1924년 동계 올림픽에 소개된 후 매우 유행, 여성은 ‘노르웨이 슈트’착용
니트 풀오버와 무릎길이의 니커보커스 위에 긴 스커트 착용
56-1920년대 들어 패션은 미의 이상, 관용적인 사회분위기, 새로운 유형의 스포츠와
함께 나타난 현상
이 시기는 사치스럽고, 엉뚱함. 유연한 소재는(자유스런 몸 움직임 허용) 몸을 감쌌고 짧은 머리에 가느다란 몸매가 이상적.
60 마들렌 비오네, 드레이핑의 거장, 그녀는 스케치 없이 마네킹에 직접 원단을 놓
고 돌려가며 형태, 볼륨, 라인들을 창조
-작품이 모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델 세 방향으로 촬영되어 보관됨.
-그녀도 1880년경 안티 코르셋 세대
-푸아레는 여성을 동양풍으로, 샤넬은 남성풍으로, 비오네는 더 고귀하게 만들었다.
-천을 솔기 없이 고대의 드레이퍼리 만들어냄.
-바이어스 재단의 비밀
1930년대를 지배한 이 실루엣은 마르셀 쇼몽의 추진력으로 모슬린, 망사로 발전하
여 그녀의 후기 디자인 특징인 크레이프 소재의 이브닝 가운으로 이어짐,
64-리블 블랙 드레스:
감상적인 성격을 거부한다는 점에서 모더니즘 표현
위엄을 거부한다는 점에서 페미니즘을 표현하고 다양한 색채의 인간집단과 섞이 기를 거부한다는 점에서 개인주의를 표현
68
대공항: 미국의 주식 폭락
어려운 경제, 실업자 증가로 직장여성을 가정으로 돌려보내려는 사회적
분위기. 어려운 시기를 영화의 환상을 통해 보상받으려 함.
Adult Mode어덜트 모드-대표 배우는 그레타 가르보(스키야파렐리가 디자이너)
미술
-초현실주의, 모더니즘 영향.
패션- Long & Slim(롱 앤 슬림)실루엣 유행, (웨이스트 라인 부활),
홀터 넥(Halter Neck)과 데꼴레떼, 긴 헴라인 유행: 극단적 노출
68 스키야파렐리
시선 집중 중요시->초현실루의적, -즐거움, 놀람을 주기 위한 디자인, 엉뚱
-쇼킹 핑크 -친분-달리, 콕도, 맨 레이-그들과의 합작으로 '서커스', '악기'시리즈
-1939'로코코거울 재킷' 1954 컬렉션 열고 회고록 쓰며 은퇴
72 -스티럽 팬츠와 웨지힐 등장으로 패션계 강타
->어깨넓이의 칼라, 러플, 플라운스, 랩 스타일상의, 러플소매 삼각형 상체 부각
-1936년 페라가모 하이 웨지힐 발명
->우아한 신에다 웨지힐 사용할때 굽안을 도려내거나 라피아 섬유, 코르크로 제작
* 초현실주의의 예술의 특징
이성이나 고정된 관념의 지배를 거부하고 인간정신의 무의식, 비합리적인 것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예술혁신운동으로
절대적인 자유와 인간해방을 추구하였으며 현실을 본능적이고 잠재적인 꿈의 경험과 융합시켜 꿈과 현실의 모순된 상황을
절대적 현실 또는 초월적인 상태로 변형시켰다
* 초현실주의 복식
-신체의 상징화: 신체의 일부분-눈, 코, 입술, 손, 유방, 발가락, 등-을 이탈시켜 미적대상으로 개체화시켜 상징
-사물의 은유와 변형: 대상이 갖는 성격을 뒤엎고 창조된 변형 시도: 신발의 모자화
-눈속임 착시: 형태, 선, 재질을 대비시켜, 시각적 착각을 유도, 모조 카라
-복식의 자연 오브제화: 새, 나무, 꽃 나비 등 자연물을 복식에 표현.
-위치, 용도 변경: 데빼이즈망, 기존의 복식관념에서 벗어난 의미변경. 바지 재킷,
76 1929년 이후, 이 시기 좋은 재료수급 어려워 ‘정형외과적 웨지 힐’고안
80-그레는 솔기의 수를 최소로 줄이기 위해 저지 디자인을 모델에게 직접 드레이핑
-그레는 드레이핑과 개더링의 대가로 그리스의 카리아티드 의상과 유사했고
인체를 강조한 디자인으로 형태적 특성 있음.
카리아티드: 그리스시대의 여인상으로 된 건축기둥
그녀의 드레스는 부드러운 흐름을 위해 천 테이프로 개더를 정확하고 꼼꼼히 고정시켜서 의도한대로 흘러내리도록 함.
84 촬스 제임스 1906-1978 영국태생 미국디자이너 전통 오트 쿠틔르 방식의 최초
-1930년대 주로 런던에서 활약
-발렌시아가는 그를 ‘세계 최고의 유일한 드레스 메이커’라 극찬
-그는 의상디자인을 응용미술에서 순수 미술로 고양시키는 역할
-추진력이 강하고 완벽주의자, 약1천 여 점 남김.
-그의 디자인은 단순 디자인이 아니라 공학적으로 설계
대량생산의 필요성은 알았으나 재료와 디자인 포기가 어려워 성공적이지 못함.
88 패션:
중반 이후까지 밀리터리 룩(=볼드 룩) 유행: 작은 모자, 굽 있는 구두, 각진 어깨,
무릎길이의 등의 테일러드 스타일이 기능복으로 유행.
과학기술의 발달은 함성섬유, 직물가공, 재봉틀의 일반화로 시민복의 현대화
뉴 룩1947은 피폐된 여성의 우아함과 아름다움 회복->여성의 패션 욕구 충족(귀족
적 취향). 이 후 화려한 쿠튀르 경향 지속
재료수급: 물고기 껍질블라우스, 재킷, 벨트에 사용, 합성섬유로 구두와 덧신 만들고
로프, 코르크, 목재 등으로는 구두창의 대체물로 사용
1930-40년대 할리우드의 배우들이 유행선도
예: 마를레느 디트리히는 몸에 딱 맞는 슈트와 커프스가 달린 셔츠
뉴욕은 세계예술의 중심지
아름답고자 하는 욕망은 1920년대부터 시작되어 30, 40년대 지속적으로 확산된 기성복과 액세서리의 대량생산을 통해 충족됨.
코스튬 주얼리는 빈부 상관없이 구입
-여성들은 초라한 옷차림을 꾸미기 위해, 분위기를 바꾸고 싶을 때 사용
-전쟁중 코스튬주얼리는 보잘것없어도 의상보완하며 재미주고 귀금속의 대체역할.
98-코스튬 주얼리는 다양한 디자인과 재료 기술적 시도를 가능케 했으며
-미국적인 스타일과 문화에 대한 최고의 표현이다.
100 클레어 매키델의 디자인은 캐주얼의 대명사
-맥카델 옷: 세련된 뉴욕 패션 엘리트 연상. 깅엄과 캘리코 등 편안한 도시 의상
표현에 적합, 1931년 ‘면 원피스’에 대한 새로운 해석
매카델은 금속고리와 ‘스파게티’ 매듭, ‘구두 끈’ 매듭과 같은 금속 클로저, 두 줄
스티치로 된 외곽선, 큰 주머니로 옷을 장식
104 19세기 중반 뉴욕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역동적인 기성복 생산 중심지
-19세기 중반 파리는 최고 수준의 옷을 추구하는 오트 쿠틔르 중심지
-20세기 초반까지 패션은 부유하고 예술적인 쿠틔르 하우스에서 만들고 기성복 제조업자들은 모방하는 것이 일반적. 프레타포르테는 젊은 층을 겨냥한 디자인
의 새로운 물결은 아방가르드한 디자인을 적절한 가격에 살 수 있음을 의미.
-20세기 말 오트쿠틔르는 독창적 지위를 유지하려는 한편 영향력 있는 디자이너들
은 프레타포르테 범위 내에서 디자인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활동.
108 1947년 2월12일 디올은 코롤 라인으로 데뷔 콜렉션.
->높은 가슴, 둥글고 좁은 어깨, 크게 부풀린 엉덩이, 가느다란 허리의 이미지
-스커트는 바닥에서 23cm(9인치)위로 올라가고 이 라인은 스커트의 밑단선을 패션의 새로운 기준으로 삼게 되었다.
112 1945-46년 프랑스 패션산업연맹인 파리의상조합은 몇 몇 도시를 순회하는 패션쇼 ‘패션 시어터’조직
-> 목적은 2차 세계대전 발발 전 오트쿠틔르 업계에 큰 이익을 안겨주었던 전 세계 고객들을 파리로 끌어들여 파리의 위상을 되찾는 것.
파스 : 벨 에포크에서 부분적인 영감 받음,
-기이할 정도로 부풀린 곡선(루프, 호블 라인)강조
-‘악당 같은’남성용 액세서리들(윙 칼라, 넥타이, 단축구멍에 꽂은 카네이션 등)
-장난스러운 그의 정신은 베티나(스타 모델)을 통해 잘 표출됨.
-베티나는 1949년 파스가 재발표한 패션서 짧은 ‘말괄량이’헤어 컷으로 유명
발맹: 파스와 대조적으로 소박한’뉴 프렌치 스타일’은 스포츠웨어에서 영감 받은 겉옷들로 특징 지워지며
-마담 졸리 시절에는 선명한 테니스 줄무늬를 이용한 도시형의류,
‘리틀’ 칵테일 드레스, 르사주, 레베, 드푸의 자수로 장식된 이브닝 가운 및
예복가운으로 특징 지워짐.
116-20세기 가장 강력한 스타일 창조자, 형태와 색채의 대가
-1947년 뉴 룩 이후 가장 극적인 실루엣의 변화
-허리선이 없는 슈미즈, 색 드레스 등은 코르셋 풍에 익숙해 있는 사람들에게 충격
-당시에는 논란거리 그러나 10여 년간 시대 풍미
-디자인 특징
드레스와 망토 디자인에는 이브닝 드레스의 케잌 형태, 전등갓, 풍선, 삼각 돛처럼 부푼 뒷모양 등 특이한 형태
120-칵테일 상징: 유리잔, 칵테일 안주, 중산층 이상의 사회계층
-지2차 세계대전 중 궁핍했던 사람들은 럭셔리하고 패셔너블한 것 선호
-> 상황에 맞는 옷 입기 위한 특별한 노력-옷과 액세서리의 조화 중시
가슴에 재치 있게 드리운 시폰, 짧은 볼레로 재킷, 실크 코르사주, 얼굴 위로
멋들어지게 쓴 깃털장식의 이브닝 모자, 작은 자수 클러치 백 이미지
-전통적인 칵테일 옷차림을 진재킷에 루랙스 스커트를 매칭하거나 매탈릭 가죽 재킷에 레깅스가 대신
'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오르 전시회 Le Petit Theatre Dior-The exhibition (0) | 2014.06.14 |
---|---|
현대패션의 역사 후반부 1950-2000 (0) | 2014.06.11 |
데일리 스미스 명동 눈 스퀘어 5층 (0) | 2014.02.22 |
유니클로 반바지 베스킨라빈스 31과 콜라보레이션 (0) | 2013.06.30 |
핫한 디자이너 톰 브라운Thom Browne 스토리 (0) | 2013.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