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우레탄
스판덱스-라이크라: 미국 듀퐁사 개발한 브랜드 이름
가볍고 탄력성 우수-500-800%의 고신축성
고탄력스타킹, 수영복, 운동복, 고무대용품,
여성용 보정속옷 파운데이션 류
수영장의 염소에는 끄덕 없으나 썬탠 오일은 황변을 일으키므로 사용 후 즉시 세탁할 것.
초극세 섬유
머리카락 굵기의 1/100
부드럽고 가볍고 보온성 우수. 흡유성 우수.
큰 표면적과 정밀성
스포츠 캐주얼웨어에 적극사용
극세사로 고밀도 직물제작-위생성을 높힌 진드기 방지용 침구커버 개발-아토피에 좋다.
나노섬유
전자방사법의 발달에 따라 피부처럼 매끄럽고 종이보다 얇고 가벼우며
땀을 숨쉬듯 배출하면서도 박테리아 같은 외부물질은 침투하지 못하는 섬유
나노섬유 지름이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에 불과한 초극세사
인조용 피부나 의료용 붕대 생화학무기 방어용 의복 등
1나노는 10 억분의 1m
마이크로 캡슐화
액체나 고체상태의 심 물질을 벽 물질로 둘러싼 것으로
직경이수~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를 가진 초미세입자
상변이 체온조절 소재(P.C.M.: Phase Change material)
인체와 환경의 온도에 반응하는 상변이 물질을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원단에 부착하면
온도가 높을 때 몸에서 발산되는 과잉 열기를 흡수하여 고체에서 액체로 변화하여
열을 저장하고 외기온도가 낮을 때에는 다시 고체화하면서 열을 방출하여 체온조절을 돕는다.
투습 방수 소재
인체의 수증기, 땀을 외부로 발산시키면 외부로부터 빗물 등의 칩입을 방지하는 소재이다.
원단에 0.1-0.5마이크로미터 정도의 미세다공을 만들면 수증기0.004는 통과하나
100이상의 빗물은 통과하지 못한다.
고어텍스 미국1976, 엔트란트 일본1978
축열 보온 소재
일반 투습방습포에 보온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전천후 외의를 만드는 것.
자외선 차단소재
자외선 파장180-400nm인 전자파
피부에 염증, 홍반(썬번), 멜라닌 색소 침착(썬탠)생김.
피부에 침투하여 진피부근에 있는 탄력섬유 파괴-피부노화의 원인됨.
햇빛에 노출되는 모든 의류, 용품에 자외선 차단소재 쓰임.
화장품
방호 테크놀로지
고강도소재
케블라-강철보다 강한 강도
4000도 이상의 열을 견디는 고내열성
우수한 내한성 및 절연성, 내약품성 가지는 최첨단
원사, 직물, 부직포 형태로 생산됨
방탄복, 방탄 헬멧, 로프 케이블, 펜싱성수의 보호용 재킷이나 벌목업자, 정육업자, 보호장갑 등 인체보호용.
방염소재
불에 타지 않는 소재:열과 화염에
견디는 소재-노맥스, PBI
소방복, 카레이싱복, 스턴트맨
보호복, 우주복 등
불연성소재
유리, 금속섬유
전자파 차단소재
전자파는 가전제품, 컴퓨터, 핸드폰 등에서 발생
장시간 노출인체 생리기능 저하로 남성의 정자 수 감소
여성 생리불순, 기형아 출산.
혈액암. 전자파 장애증후군 가능
전자파 차단의류를 입는다.
구리, 은, 니켈, 등 전도성 금속을 직물에 도금하거나 전기전도성 유기재료를 코팅하여 얻는다.
색감이 어둡기 때문에 안감으로 사용되며 앞치마나 조끼, 바지주머니 안감 등에 이용
카멜레온 섬유
주변의 온도나 자외선의 양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섬유
주변온도가 낮아지면 어두운 색으로 변화하여 빛을 많이 흡수하여 몸의 온도를 높여주고
기온이 높아지면 밝은 색상으로 변하여 빛을 반사하여 시원하게 한다.
자외선을 받아도 색상이 변한다.
감온 변색 색소를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섬유에 부착시켜 얻는데,
마이크로 캡슐 속에 색체성분과 발색제 또는 소색제를 넣어 온도나 빛에 따라 서로 결합하여
발색 또는 소색하여 색이 변하게 되는 것이다.
광 테크놀로지
야광, 재귀반사, 발광 소재
재귀반사란 원단이나 필름 위에 특수반사층을 부착한 후 미세한 유리구슬을
그 위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입사광을 광원의 방향으로 되돌림으로서
야간 가시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도록 고안된 제품.
단 빛이 있어야 반사를 한다.
경찰복, 소방복, 작업복, 환경미화원 복-안전분야
가방, 레저, 스포츠 의류에 사용
발광 소재는 광섬유와 컬러 LED를
이용하여 다양한 색의 빛을 발하도록 한 것. 주변 색에 반응하기도 하고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패턴 색이 변한다.
동적 메시지, 그래픽스, 다중컬러의 표면 제공
홀로그램소재
두 개의 레이저 광이 서로 만나 일으키는 빛의 간섭효과를 이용,
사진용 필름과 유사한 표면에 3차원 이미지를 기록한 것으로
이 이미지를 재생한 기술을 홀로그래피라고 한다.
인체공학과 스피드 테크놀로지
윈드 서핑복이나 잠수복
이는 채온유지와 신체보호를 목적으로 두꺼운 소재를 필요로 한다.
네오프렌. 신체적합성 요구 됨.
웨트수트의 경우 인체와 수트사이에 들어온 물의 유동정도에 따라 체열손실이 달라짐.
애니멀 수트-미국의 오닐이 벤트 디자인과 합작하여 제작함.
구부려야 하는 부위에 아코디언 주름을 형성하여 움직임을 편하게 함.
스마트 테크놀로지
웨어러블 컴퓨터
몸에 부착해 컴퓨터 행위를 할 수 있는 보든 것.
다기능 PC와 웨어러블 시스템과 PC기능에 근접한 초소형 장치
초기는 군사용이나 현재는 좁은 비행기 엔진의 보수, 유지 등 좁은 공간에서
방대한 매뉴얼과 핸드 프리를 요구하는 업무분야에서 높은 수용 예상함.
의류업체의 관심으로 스마트 의류가 됨.
스마트 의류
90년대 중반 미국과 유럽에서 군사용으로 개발 시작.
고기능성 섬유소재의 의복에 디지털 센서나 GPS, 초소형 통신기기와 소형 MP3플레이어 등을
내장하여 기능성을 부여한 의류.
의류자체가 필요한 기능을 알아서 수행
인간의 편의와 건강, 심미성 도모하므로 스포츠웨어, 인테리어 직물,
유아용 보호복, 무선 통신복, 환자복, 작업복, 우주복 등 다양한 용도로 상품화됨.
'특수 소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Fur words (0) | 2016.06.07 |
---|---|
2장 모피의 유제 (0) | 2016.05.07 |
1-3 모피의 구조 1-4 원모피의 생산과 처리 1-5 모피의 품질기준 (0) | 2016.05.03 |
FUR 모피 업체 '관명 모피' 견학 (0) | 2016.05.01 |
Fur 원료 모피 모피의 연혁, 산업 모피동물 (0) | 2016.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