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피의 연혁
- B.C.1000년경 중국에서 모피를 의복에 이용
세계 모피 유행의 중심지
세계 모피 유행의 발자취
사육해서 채취하는 기술 발달. 이로 인해 모피의 질 개량되고 감은 여우로부터
은여우가 만들어져 유행의 총아가 됨. 사육 성행
- 모피의 가격은 런던, 뉴욕, 북유럽, 소련 등의 모피시장에서 옥션에 의해 국제적으로 정해짐à이것이 산업의 기준.
센트루이스, 뉴욕, 런던, 몬트리올에 큰 시장
- 1952년 8월9일부터 효력을 발생한 모피제품 품질표시는 동물의 실제 영어명칭을 사용해야 하고
모피를 염색하면 표시를 해야 하고 원산지도 표시
제1장 원료모피
1-1 산업
- 동일한 원자재에 동일한 형태의 옷이라도 작업방법의 차이에 따라
모피 원자재의 소모량이 달라지며 작업의 난이도가 결정되므로 가격변동 폭이 매우 유동적이다.
- 일반적인 특성으로는 수요와 공급시장의 지역성이 강한 점,
계절성이 매우 강하고 특히 겨울날씨에 민감한 점,
한정적이고 뚜렷한 소비층을 갖고 있다는 점,
소비자는 구매의도가 독특하고, 계획된 구매를 하며,
제품 브랜드보다는 원자재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더 강하다는 점.
1909 영국 남극 탐험가 어니스트 새글턴이 출연한 최초의 폴라정장광고
모피의류제품 특징
- 자연제품이기 때문에 공급량이 제한되어 있어 희소성의 가치가 있다.
1-2 모피 동물 Fur animals
1. 모피동물의 종류
1) 육식류CARNIVORA – 여우 fox, , 밍크mink, 담비marten,
흰 담비 ermine, 검은 담비sable, 표범leopard, 노랑 담비fisher,
족제비weasel, 수달, 오소리, 너구리 racoon, 바다 표범hair seal , 물개, 카라쿨 램
2) 설치류- 친칠라chinchilla, 명주 쥐hamster, 다람쥐, 비버, 사향 쥐
2. 주된 모피동물
모피로서 실용되는 동물은 약 100여종 이상으로 세이블, 친칠라, 밍크 등 호화로운 것과
토끼, 다람쥐, 족제비, 너구리 등 비교적 값싸고 실용적인 것까지 다양하다.
섬유상품에 많이 사용되는 모피는 20여종으로 친칠라, 밍크, 여우, 토끼, 담비, 바다표범, 무스탕, 토스카나 등이 있다.
모피명칭은 알래스카 밍크, 호주산 양털과 같이 동물의 이름과 원산지를 붙여 부른다.
1) 밍크mink : 육식류 족제비과 . 소형모피동물
- 돌연변이에 의해 40여종의 밍크가 있으며, 세장한 몸에 목이 길고 다리는 짧다. 모색은 여러 층의 갈색.
- 야생과 사육(우수), 야생밍크는 족제비의 별명
- 빛깔이 아름답고 광택, 내구성 있고 튼튼하고 오래 사용. 가장 우수
- American Legend, Magestic(캐나다산), SAGA, NORKA(소련산)
- 1910년대 중반부터 미국 캐나다 등에서 양식 “Silver Blue계” 모색
- 모피구매의 60-70%를 차지. 풍부한 자연색의 변화와 아름답고 부드러운 털 등으로
가볍고 내구력이 커 모피의류의 대명사이다.
2) 여우 : 육식류 개과에 속하는 모피동물
- 털이 길고 가벼우며 호화스러운 느낌을 주며 민감하여 털이 잘 빠지고 화려해 패션성이 강하다.
내구성도 있고 얼굴이 사랑스럽다.
- Blue(푸른색을 띤 회색), White(크림색 또는 순백색), Shadow, Silver,
Red Fox(진 오렌지색부터 황색에 가까운 색) 등이 있다
- 양식은 1900년 초 시도, 1910년에 캐나다에서 돌연변이로 실버 폭스가 생산.
- 현재 이용되고 있는 것은 양식종으로 주로 스칸디나비아에서 생산됨.
3) 카라쿨Karakul: 양의 품종으로 모피와 육용의 겸용(생후 1주 이내에 생산)
- 중앙아시아의 고원지대가 원산지 흑색 80-85%, 회색 10-15% 백색과 갈색이 5% 정도
- 12개월 미만의 어린양을 ‘램’ , 카라쿨 램이 대표
털이 둥글게 말려 있어 캐쥬얼해 칼라, 커프스, 캐쥬얼 재킷에 많이 사용
4) 토끼Rabbit : 토끼류의 토끼과
- 야생(산토끼)과 사육(백색으로 야생보다 좋다)
- 모피용으로는 친칠라, 렉스
- 초식동물로 약하여 내구성이 없다.
친칠라 (Chinchilla):
매우 사치스러운 모피로 자연 그대로의 광택과
색깔을 사용하며 은은한 비단 같은 미묘한 촉감이 있다.
롱코트, 케이프, 스톨, 트리밍에 사용된다.
5)담비(marten)
야생으로서 털의 길이는 밍크보다 길고 여우보다 짧다.
밍크보다 고급품이고 소련제의 흑담비와 일본제의 황담비가 있는데
흑담비는 암회갈색이고 황담비보다 감촉이 좋은 털을 가지고 있다.
황담비는 일본담비라고도 하며 담황색의 것이 질이 좋고 담다색의 것은 염색하여 사용한다.
멋을 내는 데는 가장 훌륭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 힌담비 어민(Erimine) : 족제비과 세신, 꼬리는 길다.
- 소련과 스칸디나비아 산
- 족제비과 동물로 털 길이는 짧고 순백이 최상이다.
- 어민은 백색을 뜻하며 왕실, 귀족의 양식용, 영국의 대관식용
- 털은 부드럽고 짧으며 순백색이 최고급
* 검은 담비(Sable)
이외에 미국 너구리, 비바, 사향쥐, 마모트 등은 캐쥬얼 의류에 이용되고, 오소리, 수달피 등은 장식품으로 이용된다.
무스탕(Musatang), 토스카나(Toscana)는 양모피로 만든 양면모피(double face)를 의미한다.
양의 껍질은 털이 나 있는 상태로 벗겨 기름을 제거하고 색상을 입힌 후
털이 있는 면은 옷의 안쪽으로 육면은 옷의 바깥쪽으로 향하게 만든 의류이다.
무스탕은 다 자란 어미양의 원피를 사용한 모피의 명칭이다.
6) 기타
일반적으로 면양의 털은 긴 솜털만으로 되어 있어 모피로는 너무 두텁고 무겁다.
따라서 갓 태어난 면양이나 출산 전의 양털가죽을 코트감으로 사용한다
특히 새끼를 전혀 낳지 않고 털갈이를 하지 않은 6개월 미만의 어린 산양을 이용한 것을 토스카나라 하는데
보온성이 뛰어난 대신 세탁이 어렵다.
'특수 소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모피의 구조 1-4 원모피의 생산과 처리 1-5 모피의 품질기준 (0) | 2016.05.03 |
---|---|
FUR 모피 업체 '관명 모피' 견학 (0) | 2016.05.01 |
6. 가죽 제픔 기획 및 디자인 손질 (0) | 2016.04.05 |
5. 가죽 염색과 생산공정 (0) | 2016.03.29 |
4. 가죽의 종류 2) 가공방법에 의한 가죽의 종류 (0) | 2016.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