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성조숙증

장안의 꽃 2012. 8. 3. 18:07

 

http://media.daum.net/foreign/others/newsview?newsid=20120731165621442

[중국통신] 성인 여성 가슴 능가하는 ‘초글래머’ 6살 여아

서울신문|입력2012.07.31 16:56|수정2012.07.31 16:56

 

 

[서울신문 나우뉴스]성인 여성 가슴 사이즈를 능가하는 '초글래머' 여아 소식이 전해지면서

비슷한 또래의 자녀를 둔 부모들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장시두스바오(江西都市報)의 30일 보도에 따르면 장시(江西)성 난창(南昌)시에 사는 한 여성은

최근 딸의 무용수업을 참관하던 중 선생님으로부터 당혹스러운 소식을 듣게 되었다.

6살 된 딸 아이의 가슴이 또래 아이들보다 훨씬 크다는 것.

 

놀란 여성은 집에 돌아와 아이의 가슴을 살펴봤고,

실제로 아이 가슴에 '앵두'만한 몽우리가 잡히는 것을 발견했다.

평소 탄산음료와 과자 등 군것질을 많이 했던 아이의 병원의 검사 결과는 '성조숙증'.

양리(楊利) 장시성 아동병원 내분비과 주임은 "탄산음료수에 함유된 방부제가 환경호르몬으로 작용하면서

여아의 성조숙증, 남아의 발육부진을 초래한다."

"최근 성조숙증 어린이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잘못된 식습관을 바로 잡고 부모의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이 여성은 "평소 일하느라 바빠서 아이의 습관이나 식생활에 자세히 관심을 못 가졌다"며

아이에게 미안한 마음을 표시했다.

중국통신원 홍진형agatha_hong@aol.com-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출처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do?docid=b12s0920n10

성조숙증 [precocious puberty, 性早熟症]브리태니커

 

조숙증은 여아들의 경우 8세 이전의 월경 시작으로 정의되며, 남아들의 경우는 9세 이전의 성적 발달로 정의된다.

진성(眞性)성조숙증은 비정상적으로 어린 나이, 때로는 2세 정도에도 정상적인 사춘기적 발달의 특징을 갖는 것으로 정의한다.

 

여아의 성조숙증

여아의 경우, 사춘기가 조기에 시작되면서

이에 따라 배란을 포함한 성인의 주기적인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 기능이 이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을 겪는 소녀들은 임신이 가능하다. 에스트로겐 생성이 증가함으로써 골격 성장이 촉진되며,

성장판이 빨리 닫히게 되어 결국엔 키가 작아진다.

 

대부분의 여아들의 경우, 이러한 증상의 원인이 알려지지 않은 특발성 질환이며,

이 질환을 갖는 여아들도 다른 면에서는 정상이다.

가끔은 종양이 이 장애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또는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nRH)을 분비하는 시상하부의 이상에 기인하기도 한다.

GnRH는 뇌하수체에서 황체형성호르몬과 여포자극호르몬 같은 여성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한다.

또한 이러한 호르몬들은 난소의 성장 및 발달을 차례로 촉진한다.

 

치료는 적절한 심리적·사회적 발달 및 단신(短身) 예방을 위해 중요하다.

과거에는 이 장애를 가진 여아들에게 프로게스틴이 주로 처방되었다.

프로게스틴은 프로게스테론과 유사한 효능을 가진 천연, 또는 합성제제이므로,

뇌하수체에서 성선자극호르몬 분비를 억제했다.

이러한 작용은 유방 발달의 퇴행과 월경이 중단되는 결과를 낳았으나, 단신을 예방하지는 못했다.

 

이러한 치료 형태는 뇌하수체 성선자극호르몬 분비세포들의 GnRH 수용기들을 규제하는

지속적인 GnRH 유도체들로 대체되었다.

그럼으로써 성선자극호르몬 분비의 감소 및 난소기능 중단 현상이 일어나고,

대부분의 여아들의 경우 사춘기 발달이 점차 줄어들고 성장률이 둔화되었다.

 

가성(假性)성조숙증은 부분적인 사춘기 발달로서,

사춘기 이전의 여아들에게서 성선자극호르몬과 관계없는 자율적인 에스트로겐 생성이 일어난다.

이 장애를 겪는 여아들에게는 유방 및 체모의 조기 발달이 진행되고 급속한 성장이 일어나며,

자궁내막에 에스트로겐이 자극을 주면서 그 영향으로 불규칙한 질 출혈이 나타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여아들은 진정한 월경 주기를 갖지 않으며 임신이 불가능하다.

 

가성성조숙증은 보통 난소종양, 융모막 성선자극호르몬 분비종양이 원인이 되어 나타난다.

융모막 성선자극호르몬 분비종양은 배란을 촉진하는 태반에서 정상적으로 생산되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종양이다.

또는 어떤 환경이나 산업적 화학물질 같은 외인성 에스트로겐이 원인이 되기 한다.

 이 증상을 가진 여아들은 질환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세심한 진단을 받아야 하며,

그 결과에 따라 종양 제거 등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남아의 성조숙증

남아들도 여아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진성성조숙증과 다양한 형태의 가성성조숙증을 겪을 수 있다.

진성성조숙증은 시상하부-뇌하수체-고환 축의 조숙한 활성화와 함께,

정자 형성, 남성화, 성장 가속화가 이루어지는데, 이는 성장판이 빨리 닫히고 키가 작은 원인이 된다.

 

남아의 경우 성조숙증의 원인으로는 시상하부종양 및 기타 뇌종양,

외상에 의한 뇌 손상, 그 외에도 다양한 뇌질환들이 있다.

그러나 일부 남아들의 경우 원인을 알 수 없는 원발성 성조숙증도 있다.

뇌 손상이나 뇌질환이 남아 성조숙증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신경외과적인 개입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신경외과적 처치로도 치료에 성공하지 못하거나 원인이 발견되지 않을 경우,

이 증상을 가진 남아들은 하수체전엽의 성선자극호르몬 분비세포의 GnRH 수용기를 규제하는

지속적인 GnRH 유도체로 치료할 수 있다.

그러면 성선자극호르몬 분비가 감소하고 고환의 기능이 멈추며, 대부분의 남아들은 성장 속도가 느려진다.

 

가성성조숙증은 사춘기 이전의 남아에게서 테스토스테론 생성이 성선자극호르몬과 관계없이

자율적으로 일어남으로써 생기는 부분적인 사춘기 발달이다.

이 증상의 남아들은 조숙한 남성화와 급속한 성장을 보이나, 정자를 생성하지는 않는다.

가성성조숙증은 간의 종양이나 융모막의 성선자극호르몬(정상적으로는 태반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타 종양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부신이나 고환의 종양, 선천성 부신과형성, 황체형성호르몬수용기를 활성화하는 돌연변이(성선중독증),

또는 스테로이드 섭취가 원인이 되기도 하는 외인성 남성호르몬에서 기인하기도 한다.

여아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증상을 가진 남아들은 증상의 원인을 찾아 그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졸증 예방하는 11가지 방법  (0) 2012.09.18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트라우마  (0) 2012.09.18
과도한 겨땀 굴욕  (0) 2012.08.03
단백질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0) 2012.07.18
해변에서는 청색 선글라스  (0) 2012.07.18